부석사
맨끝에 디자인 갤러리/캐릭터-한국 역사인물
2003. 9. 16.
SH-006 의상대사
의상대사(義湘大師 625∼702) 신라시대의 승려. 화엄종(華嚴宗)의 개조. 당(唐)나라에 가서 지엄(智儼)의 문하에서 현수(賢首)와 더불어 화엄종을 연구하고 671년 귀국했다. 676년(문무왕 16) 왕명에 따라 부석사(浮石寺)를 짓고 화엄종을 강론, 해동(海東)화엄종을 창시하고 전국에 10여 개의 화엄종 사찰을 건립, 화엄의 교종을 확립했다. 그의 문하에서 오진(悟眞)·지통(知通)·표훈(表訓)·진정(眞定)·진장(眞藏)·도융(道融)·양원(良圓)·상원(相源)·능인(能仁)·의적(義寂) 등 ‘의상십철(義湘十哲)’이라 일컫는 10대덕(大德)의 고승이 배출했다. 고려 숙종으로부터 해동화엄시조 원교국사(海東華嚴始祖圓敎國師)라는 시호를 받았다. 주요저서: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勝法界圖)》 《백화도량발원문(白花道場發..
맨끝에 디자인 갤러리/캐릭터-한국 역사인물
2003. 9. 4.
SH-001 문무왕
신라의 제30대 왕(재위 661∼681)으로 이름은 법민(法敏). 태종무열왕 ·문명왕후(文明王后)의 맏아들, 비(妃)는 파진찬(波珍飡) 선품(善品)의 딸 자의왕후(慈儀王后). 외모가 뛰어나고 머리가 총명하며, 지략(智略)이 많았다. 650년(진덕여왕 4) 왕명으로 당(唐)나라에 가서 대부경(大府卿)을 받았고, 654년(태종무열왕 1) 파진찬으로서 병부령(兵部令)이 되었다. 655년 태자로 책봉되었으며, 660년 나 ·당(羅唐)연합군이 백제를 공격할 때, 김유신(金庾信)과 함께 5만 군대를 거느리고 분전, 백제를 격멸하였다. 662년 문무왕은 당나라와 연합하여 고구려를 쳤으나 고구려군의 완강한 저항으로 실패하였다. 그 뒤 복신(福信) ·도침(道琛) 등의 백제 부흥운동을 저지하였다. 668년 다시 나 ·당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