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리학
맨끝에 디자인 갤러리/캐릭터-한국 역사인물
2004. 1. 8.
JO-017 이이
○이이 캐릭터 제작기○ 율곡 이이는 조선시대 대표적인 성리학자일 뿐만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 전반에 걸쳐 개혁을 주장한 대표적인 정치개혁가였습니다. 이이의 영정을 보면 부유한 집안의 자손처럼 곱게 생겼기셨습니다. (어머니가 신사임당이라서 그런 것일까요? ^ ^) 화석정은 어린시절 학문을 익혔던 곳이자 관직에서 물러나 후진을 양성한 그의 학문과 사상의 형성에 중요한 장소입니다. 위 캐릭터 중 왼쪽은 영정을 근거로 만든 캐릭터이고 오른쪽은 화석정에서 공부하는 소년 캐릭터 입니다.
맨끝에 디자인 갤러리/캐릭터-한국 역사인물
2003. 11. 5.
JO-021 조광조
조광조 (趙光祖 , 1482~1519) 조선중기 중종 때의 문신. 본관 한양. 자 효직(孝直). 호 정암(靜庵). 시호 문정(文正). 개국공신 온(溫)의 5대손이며, 감찰 원강(元綱)의 아들이다. 어천찰방(魚川察訪)이던 아버지의 임지에서 무오사화로 유배 중인 김굉필(金宏弼)에게 수학하였다.김굉필에게서 글을 배운 뒤 성리학 연구에 힘써 사림파의 우두머리가 되었다. 1515년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이 전적과 감찰 등에 올랐으며, 왕의 신임을 받았다. 그 뒤 예조 정랑과 부제학 등을 지냈으며, '여씨향약'을 실시하게 하고, 미신 타파에 힘썼다. 1519년에 대사헌이 되어 현량과라는 과거를 실시하여 30대의 젊은 학자들을 중요한 자리에 앉히는 한편, 훈구파를 정계에서 몰아 냈다. 그러자 훈구파에서는 그가 왕이 되..
맨끝에 디자인 갤러리/캐릭터-한국 역사인물
2003. 10. 28.
JO-016 이황
이황 (李滉 , 1501 ~ 1570) 조선을 대표하는 성리학자. 자는 경호(景浩)이다. 진보(眞寶) 또는 진성이 선생의 관향(貫鄕)이며 호는 퇴계(退溪), 퇴도(退陶), 도옹(陶翁)이라 하고 시호는 문순공(文純公)이다.이황은 1501년 경상북도 안동군 도산면에서 이식의 막내 아들로 태어났다. 12세 때부터 작은아버지에게 학문을 배웠고, 혼자 책읽기를 좋아했다. 1533년 진사로 성균관에 들어가 학문을 닦은 이황은 이듬해 문과에 급제하여 박사, 호조 좌랑 등을 거쳐 홍문관 수찬이 되었다. 승진을 계속하던 이황은 36세 되던 해 어머니가 돌아가시자 고향으로 돌아갔다. 그 뒤 이황은 다시 왕의 부름을 받아 홍문관 교리 등을 지냈다. 인종에 이어 1545년 당파 싸움이 심해지자 벼슬에서 물러나 고향으로 내려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