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끝에 디자인 갤러리/캐릭터-한국 역사인물
맨끝에 디자인 갤러리/캐릭터-한국 역사인물
2003. 10. 15.
JO-007 김정희
김정희(1786-1856)는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이며 실학(實學)과 금석학(金石學)에 큰 업적을 쌓은 당대의 대표적인 학자이자 서화가였다. 본관은 경주(慶州)이며, 자는 원춘(元春), 호는 추사(秋史), 완당 등 백여 가지를 썼다. 어려서 부터 북학파의 거두 박제가의 눈에 띄어 그로부터 실사구시의 학문을 전수받았다. 1819년 과거에 급제하여 암행어사, 예조참의, 검교, 대교, 시강원 보덕 병조참판 등 높은 벼슬을 지내고 24세 때는 아버지 김노경을 따라 연경에 가 당시 중국의 대학자인 옹방강(翁方綱) 등과 돈독히 교류하였고 이들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금석문의 감식법과 서법을 익혔다. 1840년에는 당파싸움에 휘말려 제주도로 유배되어 9년간의 유배 생활을 하면서 역대의 명필을 연구하여 자신의 독특한..
맨끝에 디자인 갤러리/캐릭터-한국 역사인물
2003. 10. 14.
JO-006 안중근
한말의 독립운동가 안중근 [安重根, 1879 ~ 1910.3.26]은 본관 순흥(順興)이며, 아명 안응칠(安應七)이다. 황해도 해주(海州)에서 출생했다. 한학(漢學)을 수학했으나 오히려 무술에 더 열중하였다. 1895년 아버지를 따라 가톨릭교에 입교하여 신식 학문에 접하고 가톨릭 신부에게 프랑스어를 배웠다. 1904년 홀로 평양에 나와 석탄상(商)을 경영하고 이듬해 을사조약(乙巳條約)이 체결되는 것을 보자 상점을 팔아 1906년 그 돈으로 삼흥(三興)학교(후에 오학교(五學校)로 개칭)를 세우는 등 인재 양성에 힘쓰다가 국운(國運)이 극도로 기울자 합법적인 방법으로는 나라를 바로잡을 수 없다고 판단, 1907년 연해주(沿海州)로 망명하여 의병운동에 참가하였다. 그는《대동공보(大同公報)》의 탐방원(探訪員)으..
맨끝에 디자인 갤러리/캐릭터-한국 역사인물
2003. 10. 13.
JO-005 장영실
조선 세종 때의 과학자로 경상도 동래현의 기생 아들로 태어나 관노라는 미천한 신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재주가 뛰어나 과학에 특히 관심을 기울인 세종 대왕에 의해 1423년(세종5) 발탁되어 노예신분을 벗었다. 그 후 행사직이 되고, 1432년 중추원사 이천을 도와 간의대의 제작에 착수하고 각종 천문의의 제작을 감독하였다. 그러나 조정의 신하들로부터 아무런 쓸모도 없는 물건을 만든다고 많은 업신여김을 받았다.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장영실은 굴하지 않고 세종의 격려를 받으며 열심히 작업에 몰두했다. 1433년에는 호군에 올랐으며, 혼천의 제작을 완성했다. 이듬해 갑인자의 주조를 지휘감독하는 한편, 물시계인 자격루를 제작, 완성했다. 이후 천체관측용의 대.소간의, 해시계인 천평일구, 앙부일구, 일성정시의 및 ..
맨끝에 디자인 갤러리/캐릭터-한국 역사인물
2003. 10. 10.
JO-004 김시습
조선전기의 학자(1435 ~ 1493)로 본관 강릉(江陵). 자 열경(悅卿). 호 매월당(梅月堂)·동봉(東峰)·청한자(淸寒子)·벽산(碧山). 법호 설잠(雪岑). 시호 청간(淸簡).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이다. 서울 성균관 부근에 있던 사저(私邸)에서 출생하였으며, 신동·신재(神才)로 이름이 높았다. 김시습은 청년기때 가정적 역경 속에서 삼각산 중흥사(重興寺)에서 공부하다가 수양대군이 단종을 내몰고 왕위에 올랐다는 소식을 듣고 통분하여, 책을 태워버리고 중이 되어 이름을 설잠이라 하고 전국으로 방랑의 길을 떠났다. 1463년(세조 9) 효령대군(孝寧大君)의 권유로 잠시 세조의 불경언해(佛經諺解) 사업을 도와 내불당(內佛堂)에서 교정 일을 보았으나 1465년(세조 11) 다시 경주 남산에 금오산실(金鰲山..
맨끝에 디자인 갤러리/캐릭터-한국 역사인물
2003. 10. 9.
JO-003 사명대사
조선중기의 승려(1544∼1610)이자 의병장이었으며, 유정은 법명이고 본래 이름은 임응규, 호가 사명당이었다. 경남 밀양에서 태어나 어려서 부모를 여의고, 13세 때 김천 직지사로 출가하여 신묵의 제자가 되었으며, 1561년 승과에 급제하였다. 1575년에 묘향산 보현사로 가서 휴정(서산대사)의 제자가 되어 3년 동안 가르침을 받았고 금강산·태백산 등 명산을 찾아 다니며 도를 닦다가, 충북 옥천의 상동암에서 인생의 무상함을 깨닫고 제자들을 해산 시킨 뒤 홀로 참선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승병을 모집하여 서산대사의 휘하에 들어가 왜군에게 빼앗긴 평양을 되찾는 한편, 권율과 힘을 합쳐 의령에서 왜군을 물리쳤다. 정유재란 때에도 울산에 쳐들어온 왜군을 물리쳐 공을 세웠으며, 1604년 국서를..
맨끝에 디자인 갤러리/캐릭터-한국 역사인물
2003. 10. 7.
JO-002 서산대사
조선중기의 승려(1520-1604)였으며 속명은 최여신인데 보통 서산대사라 불린다. 어려서 부모를 잃고 양아버지 밑에서 자랐는데, 1534년 진사 시험에 떨어진 뒤, 지리산에 들어가 승려가 되었다. 그 뒤 승과에 급제하여 봉은사 주지가 되었으나 곧 그만두고,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73세의 나이로 승병을 모집하여 서울을 되찾는 데 공을 세웠다. 그는 선종과 교종으로 분리된 불교를 통합하는데 힘썼으며, '삼교 통합론'을 내세워 유교·불교·도교를 하나로 합치려는 노력을 하였다. 우리 나라의 대표적인 고승으로 시와 문장에도 뛰어났다. 주요저서-《청허당집》 《선교결》 《심법요초》 《운수단> 《설선의》
맨끝에 디자인 갤러리/캐릭터-한국 역사인물
2003. 10. 6.
JO-001 박문수
조선후기의 문신(1691-1756)으로 암행어사로 활약한 시기는 비록 1년 여에 불과했지만, 조선시대 7백 명이 넘었다는 암행어사 가운데 유독 ‘암행어사’하면 박문수를 떠올릴 만큼 공명정대한, 말 그대로 진짜 암행어사다. 옳다고 생각하면 임금 앞에서도 직언을 올릴 만큼 강직한 성품의 소유자로 그 때문에 적도 많아서 평생 모함, 탄핵, 좌천의 온갖 고초를 겪었다. 기지와 뛰어난 판단력을 갖춘 데다 신분제도에 구애됨이 없이 약자의 편에 서고자 했던 인간적 매력은 민초의 영웅이 되기에 충분하다. 정치적으로 소론파에 속했지만 이런 구분은 무의미했던 것으로 보인다. 반대파의 탄핵이 있을 때마다 사직을 자청했던 것을 보면, 권력에 연연하지 않는 자유인의 모습을 엿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자유인의 모습이야말로 이..
맨끝에 디자인 갤러리/캐릭터-한국 역사인물
2003. 10. 2.
CO-009 안향
안향 (安珦 , 1243~1306) 고려시대의 문신·학자. 본관 순흥(順興). 초명 유(裕). 자 사온(士蘊). 호 회헌(晦軒). 시호 문성(文成). 1260년(원종 1) 문과에 급제하여 교서랑(校書郞)이 되고, 1270년 삼별초의 난 때 강화(江華)에 억류되었다가 탈출한 뒤 감찰어사(監察御史)가 되었다. 1275년(충렬왕 1) 상주판관(尙州判官) 때 미신타파에 힘썼고, 판도사좌랑(版圖司佐郞)·감찰시어사(監察侍御史)를 거쳐 국자사업(國子司業)에 올랐다. 1288년 정동행성(征東行省)의 원외랑(員外郞)을 거쳐 유학제거(儒學提擧)가 되고, 그해 왕과 공주를 호종하여 원나라에 들어가 연경(燕京)에서 《주자전서(朱子全書)》를 필사하여, 돌아와 주자학(朱子學)을 연구하였다. 1294년 밀직사부지사(密直司副知事)로..